1. 수업의 성질과 기본가정

교사의 책임 : 교실에서 학습자들의 교과내용에 대한 기술과 지식으로 표현되는 언어적 행동을 발전시킴

  1)학습을 나타내는 비언어적 행동(nonverbal behavior)과 언어적 행동(verbal behavior)절차를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해야 함
  2)흥미, 열의, 학습에 대한 동기로 언급된 그러한 행동의 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해야 함

-> 그러나, 교실학습에 있어서의 전통적인 논의는 학습의 과정에 대한 세밀한 분석에 기인하지 못하였음을 지적

* 교수기술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세가지 기본 가정을 강조

1)실험실에서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교실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
2)교실에서의 학생들의 행동 양식은 다른 행동과 똑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
3)전통적인 교실에서는 학생의 행위를 가장 교과적으로 조절할 수 잇는 강화의 우연성이 교사의 능력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, 티칭머신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강화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.

 

2. 수업의 구성 요소

1) 자극 선택

  -자극변별(discrimination)과 자극 일반화(generalization)는 보다 더 복잡한 언어적 행동학습에 매우 중요한 필요조건이고 서로 상보적인 관계

  -학생들의 행동은 한가지 자극만을 고집하지 말아야 하며 여러 가지 자극(언어적, 비언어적 자극)에 의해 통제되도록 함

  -예를 들면, ‘P’라는 글자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일반화의 능력이 없다면 여러 형태의 ‘P’가 나올 때마다 따로 학습해야 할 것.

 2) 강화의 제공

 ① 강화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교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강화물에 대해 사전조사 필요

   - 좋아하는 행동을 이용하여 덜 좋아하는 행동을 변화시켜 줌

 ② 고안된 강화

   - 전적으로 자연적 강화에 의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고안된(준비된) 강화가 중간 역할을 해주어야 함

 ③ 강화의 시간

   - 강화의 효과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강화자극을 주는 시간(시점)

 ④ 혐오 통제의 사용

   - 교실통제의 종류에 가끔 혐오자극을 적용하는 것과 정적 강화를 제거하는 것 등이 있을 수 있음

 ⑤ 혐오통제와 관련된 문제들

   - 감정적 반응과 벌

   - 감정적 반응은 도피행위인 망각, 산만함, 무단결석, 파괴행위 등이 있고 감정적 부산물로는 냉담, 불안, , 분노 등이 있음

   - 벌이 긍정적 행동을 이끌어 내지 못한다는 점에서 적절히 사용하여야 함

 

+ Recent posts